코칭하는 부루스입니다.
보통 한 개의 자소서에 3개(많게는 4개)의 역량(장점)을 언급해서 본인의 필요를 어필하게 됩니다.
여러분이 자신의 역량을 더 잘 정의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, 장점의 종류와 구체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1. 역량의 형태
1) 추상적 역량 - '창업가 정신이 있다' 2) 경험적 역량 - '창업 경험이 있다' 3) 기술적 역량 - '사업 모델을 짤 수 있다.' * 2)와 3)은 1)의 근거가 되기도 합니다.
예) 저는 창업가 정신이 있습니다. 과거에 두 번의 창업을 했으며, 두 번 모두 사업 모델을 직접 구상했습니다.
* 3)을 2)의 형태로 (혹은 그 반대로) 바꿀 수도 있습니다.
'사업 모델을 짤 수 있다.' (기술적 역량) -> '사업 모델을 짰다.' (경험적 역량)
'사업 모델을 짰다.' (경험적 역량) -> '사업 모델을 짤 수 있다.' (기술적 역량)
2. 역량의 구체화
역량에 살을 붙여 보다 구체화시킬 수 있습니다.
이렇게 구체화시켜 '남들과 차별화되는' 나만의 역량을 만들 수 있습니다.
구체화를 위해서는 '육하 원칙'을 떠오르면 쉽습니다.
즉, 나의 역량에 대한 무엇을, 언제, 어디에서, 어떻게, 누구에게 를 떠올리며 살을 붙여 보시기 바랍니다.
육하 원칙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구체화 기준은 무수히 많습니다.
아래의 예시들은 각각 '분야', '횟수', '산업'으로 역량을 구체화했습니다.
a. 추상적 역량의 예
1) 넓은 역량 - '창업가 정신이 있다'
2) 구체화된 역량 - '기술 기반의 창업가 정신이 있다' <- '분야'로 구체화
b. 경험적 역량의 예
1) 넓은 역량 - '창업 경험이 있다'
2) 구체화된 역량 - '두 번의 창업 경험이 있다' <- '횟수'로 구체화
c. 기술적 역량의 예
1) 넓은 역량 - '사업 모델을 짤 수 있다'
2) 구체화된 역량 - '핀테크 사업 모델을 짤 수 있다.' <- '산업' 으로 구체화
3. 추상적 역량 샘플
여러분의 역량 정의 작업의 시작을 돕기 위한 샘플들 입니다.
아래의 역량들 중에서 하나를 골라 본인의 경험과 기술과 연관시켜 보고, 또 구체화를 시켜 보세요.
리더쉽/팀워크/소통 능력/언어 이해력/사고 표현 능력/
사고 유연성/문제 해결 능력/논리적 사고/의사 결정 능력/
문화 이해력/환경 적응력/창업가 정신/스트레스 관리 능력/
위기 관리력/갈등 해결 능력/조직 관리 능력/창의력/발달된 감각/
직관력/즉흥성/몰입 능력/통솔 능력/활기/끈기/빠른 사고 전환력/
융합 사고력/넓은 지식/친화력/이성적/감성적/꾸준함/균형적 사고/
설득력/상황 대처 능력/멀티테스킹 능력/회복 탄력성/문제 파악 능력/
관찰력/정성적 사고/정략적 사고/